아파트속 과학 2

[독서기록] 아파트속 과학 - 2

제목: 아파트속 과학 김홍재 지음 초판 1쇄 발행: 2023년 7월 3일 이웃을 적으로 만드는 층간 소음 층간소음은 공동주택에서 사람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여 다른 입주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소음으로 정의함. 아파트에서 층간소음은 특히 문제가 되는 이유는 두꺼운 벽이 천장을 떠받치고 있는 '벽식 구조'로 지어진 경우가 많기 때문임. 벽식구조는 위층이나 대각선 등 인접 세대에서 발생한 소음 진동이 벽을 타고 고스란히 다른 세대로 전달되어서 층간소음에 취약함. 반면 기둥 위에 가로 방향으로 보를 얹은 후 그 위에 천장을 올린 '라멘 구조'나 기둥이 튼튼한 천장 떠받치고 있는 무량판 구조는 층간소음에 더 유리함. 아파트 구조와 층간소음 - 벽식구조: 벽이 기둥 역할을 하며 천장을 받치는 구조. 아파트 건설에 많..

독서 기록 2024.04.06

[독서기록] 아파트속 과학 - 1

제목: 아파트속 과학 김홍재 지음 초판 1쇄 발행: 2023년 7월 3일 하나의 아파트를 가리키는 다섯 가지 면적 아파트의 전용면적이 똑같더라도 실제 면적은 똑같지 않을 수 있음. 예전에는(1998년 이전) 아파트의 전용면적을 계산할 때 세대 바깥을 둘러싼 외벽의 중앙부터 측정하는 '중심선치수'를 기준으로 삼았으나 1998년부터 '안목치수'를 기준으로 전용면적을 산정하도록 주택법이 개정되었음. 안목치수는 눈으로 보이는 벽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 기준으로 하므로 벽의 내부가 길이가 기준이 됨. 중심선치수는 외벽의 중앙(중심)부터 측정하고 있음. 결론적으로 같은 1 미터로 측정했다고 하더라도, 아파트 벽체 두께 (20~25cm) 때문에 실제 내부 면적은 안목치수가 더 넓은 것임. 안목치수를 기준으로 전용면적을..

독서 기록 2024.04.03